본문 바로가기

대학생활

[Ruby] Linux에서 Ruby on Rails 깔아보기..

Ruby on Rails에 대한 한국어 자료를 찾아보다 된통 당했습니다..
자꾸 오류가 나서.. 한참을 돌아왔는데.. 역시 영문 최신판이 베스튼 거 같습니다..
혹시 이 글을 볼 때.. 6개월이 지나있다면.. 재빨리 뒤로 가기를.. 눌러주세요;; (당신이라도 살아야 해..)

 

환경 설정

 

VMware에서 Ubuntu 22.04.1을 새로 깔고 시작했습니다. (해파리 바탕화면)

 

그리고..

 

sudo apt update
sudo apt upgrade
sudo reboot

 

sudo apt upgrade <= 이건 시간이 좀 걸립니다

 

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전에.. Ruby on Rails의 철학을 다같이 읊고 가겠습니다..

하나..

둘..

 

COC!!

 

COC(Convention Over Configuration / 설정보다 관습)가 뭔데..?

개발의 방법은 다양합니다.

그렇지만 갈 수 있는 길이 많아도..  정해진 길로 가면 더 편하고 빠르고 좋죠?

그것이 설정을 유저가 직접 하기보단 준비된 관습을 따도록 하는 Ruby on Rails의 철학입니다!!

개인적으로 Django보다 더 Framework의 영향력이 큰 패러다임을 갖고 있다고 생각합니다.

 

일단 필요한 거 전부 깔고

 

sudo apt install gcc make git
sudo apt install ruby sqlite3
sudo apt install ruby-dev
sudo gem install rails

 

sudo apt install ruby-dev <= 이거 중요한 거 같아요. 안깔면 rails 설치가 안됨,, 😫😫
sudo gem install rails <= Ruby의 gem기능으로 rails를 깔아줍니다.

 

프로젝트 만들기

 

"자신이 작업하려는 폴더를 적절히 만들어 주시고 거기로 이동해 주세요"

 

rails new blog


rails new <app_name> <= 새로운 앱을 만드는 작업

 

 

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이렇게 비밀번호 입력해달라는 창이 뜨는데

적당히 root 비번 입력하고 넘어가시면 됩니다. 

 

sudo gem install ruby-bundler

cd blog/
bundle config set --local path 'vendor/bundle'
bundle install


sudo gem install ruby-bundler <= 안정적인 gem기능을 보장하는 bundler 기능 설치!!

 

위에 거 뚝딱 해주면 앱이 돌아가도록 설정이 완성됩니다 (필요한 gem들이 깔린대요 ㅠㅠㅠㅠ).

그전엔 아무 것도 안된대요 ㅠㅠㅠㅠ

 

rake db:create
rails server


rake db:create <= DB 생성(일단 sqlite3, 원하면 다른 db도 가능)

※ <app_name>/config/database.yml에 DB관련 설정을 자체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.(Default는 SQLite3)
rails server <= 로컬 서버 ON

 

두둥

 

초기화면은 이렇게 나옵니다.

Routing 설정과 MVC의 추가를 통해 더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.

 

일단 여기까지 할게요.. 🤣🤣

Ruby on Rails 괜찮은 Framework인 거 같아요.

근데.. Customizing하려면 컨셉 제대로 익히고 도전해야할 듯 한.. 느낌..🤔